2020년대의 민족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2 03:10
본문
Download : 2020년대의 민족 연구.hwp
이 중 가장 선행되어야 할 작업은 과연 민족이 무엇이냐하는 것이다. ‘한국민족’을 총체적으로 정이할 수 있는가? 자신이 한국민족인 근거를 이야기 할 수 있는가? 혹은 한국 민족과 독일 민족의 차이점을 정확히 설명(explanation)할 수 있는가? 한국에서 태어났지만 日本(일본)에서 살고 있고, 日本(일본)말을 쓰고, 스모의 열광팬인 어떤 이는 한국민족인가? 日本(일본) 민족인가?
중요한 것은, ‘민족’concept(개념)이 이렇듯 모호하고 허구적인 요소를 내포하고 있음을 폭로하는 것이 아니다.2020년대민족연구1
1.서론-당신은 어떠한 “민족성”을 지니고 있습니까?
‘나는 순수한 한국 민족입니다’라는 말은 무엇을 함축하는가? 이에 답하기 위해서는 ‘순수하다’라는 것, ‘한국’이라는 것, 그리고 ‘민족’이라는 것을 규명해야 한다. 그리고 그 민족 중에서도 특히 ‘한국적’이다라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이며, 또한 한국적이면서도 특수하게 더 ‘순수하다’라는 것의 의미를 파악한다면 앞서 언급한 질문에 대한 답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바로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실의 ‘민족’은 주체의 기억 속에 명확하고 또렷히 기억되어 있으며, 그 ‘민족주체’들은 현실에서 굉장한 에너지를 발휘한다는 것이다. 멀리는 나치즘, …(drop)
2020년대의 민족 연구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2020년대의 민족 연구






2020년대의 민족 연구2020년대민족연구1 , 2020년대의 민족 연구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설명
Download : 2020년대의 민족 연구.hwp( 79 )
다. 특히, 일제 식민지라는 국가적 억압의 기억을 가지고 있는 한국인으로서는 ‘민족’이라는 말에 남다른 애착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배달민족’ 혹은 ‘백의 민족’등 유달리 민족에 대한 수식어가 많은 것을 보아도 알 수 있다 이렇듯 주체는 자신의 민족에 대해 명확한 자각을 하고 있으며, 그것을 적극적으로 긍정하나, 실상 그 주체에게 조차도 ‘민족’concept(개념)은 다분히 모호하다. “나는 순수한 한국민족이다”-라는 아주 평범해보이는 한 문장에 대해 참으로 옹졸하게도 이토록 길게 말꼬리를 잡는 이유는, 저 문장이 함축하는 정치적 의미, 그리고 그것으로부터 파생되는 정치적 행위의 일련사태들이 그리 평범하지는 않기 때문일것이다
한 개인의 정체성을 규명하는 데에 있어서 내가 어떤 민족이냐 하는 것은 일종의 자부심을 형성하는 한 요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