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化(문화)연구론] 고려시대의 文化(문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7 02:01
본문
Download : [문화연구론] 고려시대의 문화.hwp
이는 고종 때 간행되어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의서인 《향약구급방(鄕藥救急方)》이 이러한 내용을 입증해 준다.[文化(문화)연구론] 고려시대의 文化(문화)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고려의 文化에서 먼저 주목되는 사실은 과학기술의 발달이다. 고려에서 일식․월식․유성 등을 관측한 결과는 《고려사》 천문지에 수록되어 있는데 거기에는 과학적 가치를 지닌 관측기록보다는 占星을 목적으로 한 것이 많다. 의학에서 주목해야할 사실은 전통적인 鄕藥을 연구 개발하여 독자적인 의학으로 발전시킨 것이다. 그래서 우왕 3년에는 화통도감이라는 기구를 설치하고 화약을 만들어 우왕 6년 침입한 왜구를 소탕하는데 큰 기여를 하게 된다 그리고 이 시기의 인쇄술의 발달은 대장경에서 보는 것과 같이 이동적인 활판인쇄식으로 발전하게 되었고, 서양의 금속활자보다 200여년이나 앞선 1234년에는 《고금상정례》 50권을 인쇄하기도 하였다.
[문화연구론] 고려시대의 문화 - 대학 레포트 제출자료
![[문화연구론] 고려시대의 문화-5461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B%AC%B8%ED%99%94%EC%97%B0%EA%B5%AC%EB%A1%A0%5D%20%EA%B3%A0%EB%A0%A4%EC%8B%9C%EB%8C%80%EC%9D%98%20%EB%AC%B8%ED%99%94-5461_01.gif)
![[문화연구론] 고려시대의 문화-5461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B%AC%B8%ED%99%94%EC%97%B0%EA%B5%AC%EB%A1%A0%5D%20%EA%B3%A0%EB%A0%A4%EC%8B%9C%EB%8C%80%EC%9D%98%20%EB%AC%B8%ED%99%94-5461_02_.gif)



Download : [문화연구론] 고려시대의 문화.hwp( 35 )
순서
[文化연구론] 고려시대의 文化
설명
[文化(문화)연구론] 고려시대의 文化(문화) - 대학 report 제출data(자료)
고려시대의 문화
의학에서는 동서대비원(東西大悲院)․혜민국(惠民局)․구제도감(救濟都監) 등을 설치하여 서민들의 구호와 치료를 담당하였으며, 학문적으로는 송의 effect을 받았다. 또한 고려말기에는 화약의 제조법이 전래되어 화약과 화포를 사용하기 스타트하였다. 초기에는 기술학을 잡학이라 천시하였으나, 기술학은 국자감에 율학․서학․산학이 설치되어 그 교육이 행해졌다.
◆과학기술의 발달◆
다. 또한 천문․역수․측량을 맡은 사천대(司天臺)와 태사국(太史局)(후에 서운관으로 개편)을 설치하고 사천박사․점박사 등을 두어 교육을 행하였다. 그리고 역법은 통일신라 이래 사용되던 당의 선명력(宣明曆)을 사용하였는데, 후기에는 원의 수시력(授時曆)이 전해졌고 말기에는 명의 대통력(大統曆)이 전래되었다. 그리고 과거에서도 율․서․산․의․지리 등 잡과를 두어 기술관을 등용함으로써 기술과학의 발달을 보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