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별 우리나라의 주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6 04:48
본문
Download : 시대별 우리나라의 주거.hwp
여기에서는 신석기시대를 즐문토기 culture기와 무문토기 culture기로 나누어 주거의 특징을 살펴보고 뒤이어 철기시대인 삼국시대의 주거를 다루고자 한다.
학자에 따라 신석기시대 이후의 주거를 당시에 사용되었던 토기에 따라 즐문토기 culture기의 것과 무문토기 culture기의 것으로 나뉘기도 한다.
청동기과 초기 철기시대에 속하는 주거는 신석기시대 후기와 기본적으로 같은 성격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여지나 규모의 확대 및 기능의 분화에서 보다 발전된 형태로 나타난다.
…(To be continued )
원시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의 시대별 주거의 특징에 대해서 정리하였습니다.시대별우리나라주거 , 시대별 우리나라의 주거공학기술레포트 ,
순서
설명
레포트/공학기술
,공학기술,레포트
시대별 우리나라의 주거
다. 움집의 깊이는 60㎝ 내외가 가장 많았다.
(1) 즐문토기 culture기의 주거
이 시기의 대표적인 토기인 즐문토기란 항아리 모양의 밑바닥이 첨저 혹은 외저의 토기로서 토기 표면에 점선, 파행 사선, 빗살무늬 등의 무늬가 있다아
이 시기에 속하는 주거지는 소수의 동굴 주거를 제외한 대부분이 움집으로서 하천 하류 연안이나 해안 평야 등에서 발견되고 있다아 당시의 사람들은 주로 어로와 수렵으로 생활한 채집 경제 체제의 단계에 있었던 것으로 보여진다. 대표적인 주거지는 서울의 암사동 유적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북한지방에 존재하는 곳으로 황해도 봉산군 지답리, 평남 은천군 운하리 궁산 유적, 함북 웅기군 굴포리 서포항 유적, 평북 증강군 토성리 등이 있다아
당시 주거지는 주로 작은 언덕 경사면에 구축되어 수호 정도의 작은 취락을 형성하고 있었던 것 같다.
1. 원시시대의 주거
2. 삼국시대의 주거
3. 고려시대의 주거
4. 조선시대의 주거
5. 근대의 주거
6. 현대의 주거
1. 원시시대의 주거
한반도에서의 원시주거에 관한 자료(data)는 주거지의 발굴에 의한 것이며 최근까지도 여러 개의 주거지가 발굴되고 있다아
원시주거는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의 것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아 구석기 시대에 한반도의 인류는 주로 동굴 등의 자연적인 주거를 이용한 수렵, 어로생활을 영위하고 있었던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아 그러나 건축적인 구조로 볼 수 있는 주거는 영위하지 못했던 것으로 추측되며 구체적인 인공 주거지인 움집이 발견된 것은 신석기 시대 이후로 본다. 움집의 평면은 원형 또는 원형적인 방형이 많으며 규모는 직경 3.5~7m로 다양하다.






Download : 시대별 우리나라의 주거.hwp( 78 )
시대별우리나라주거
원시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의 시대별 주거의 특징에 대해서 정리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