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체의 언어론과 해석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1 20:45
본문
Download : 니체의 언어론과 해석학.hwp
고로 나는 존재한다. 즉, 생각에 대한 직관적 해석이다. . 데카르트 명제에서의 생각은 찜찜함에 대한 인식이며, 모놀로그 이후의 굳어버린 생각에 대한 의심이다. 그의 유명한 명제인 [나는 생각한다. 데카르트의 명제에서 생각한다는 것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한다고 말할 때의 생각의 의미가 아니며, 또한 모놀로그 이후의 타인에게 인식 가능하게 된 생각을 의미하는 것도 아닐것이다.
우리가 실제로 하고 있는 생각과 우리가 생각한다고 믿고 있는 것 사이에는 엄청난 심연이 드리워져 있다 언어의 장벽 때문이다 우리가 실제로 하고 있는 생각은 무의식적이다. 날씨가 좋다는 것, 기분이 어떻다는 것은 그냥 느끼는 것이다. 하지만 이것만은 분명하다.]는 이 현상을 보기 좋게 드러내고 있으며, 거기서 과격하게 발전해 그 현상이 살아 있음을 보증하는 것이라고 보탠다. 느끼는 것을 스스로에게 언어로 된 생각으로 옮기는 순간 그 느낌은 가면을 쓴 채 나타나게 된다 물론 그런 과정은 잘 모르게 이루어진다. 생각은 생각일 뿐 말로 옮길 수 없다.` 이런 생각을 했다고 하는 것은 자기기만이다.
2. 언어라는 악령
이런 현상을 처음으로 주의 깊게 파악한 철학자는 데카르트다.
설명
니체의 언어론과 해석학니체의언어론과해석학1 , 니체의 언어론과 해석학인문사회레포트 ,
1. 우리는 정말 ‘생각’을 하고 있는가.
`와! 오늘은 날씨가 좋네.` `울적하다. 생각을 가공하는 순간 모든 것은 찜찜해진다. . 그것은 그 자체로…(투비컨티뉴드 )






니체의언어론과해석학1
Download : 니체의 언어론과 해석학.hwp( 97 )
니체의 언어론과 해석학
레포트/인문사회
니체의 언어론과 해석학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다. 그러나 내가 이런 생각을 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순간 생각은 언어를 거치면서 교정되어 의식 속으로 들어오게 된다 거기서 원래의 생각은 향기만 남게 된다 그리고 생각이 깊은 사람은 다시 묻게 된다 `이게 정말 내 생각이야?` 언어의 악령이 나를 지배하고 있다 악령에 대한 의심. 이를 통해 비록 원래 했던 생각은 알 수 없을지라도 최소한 그 순간에 살아 있음은 보장받게 된다 살아 있음이 느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내 생각에 데카르트의 명제는 증명할 수 있는 유의 것이 아닐것이다. 스스로 자기에게 말하기, 즉 모놀로그다. 그것은 생각이 아니라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