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복지론] 성폭력 피해자 상담 - 충격후 스트레스성 장애와 강간을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3 06:25
본문
Download : [가족복지론] 성폭력 피해자 상담 -.hwp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미국 통계(1987)에서는 15.4%라고 보고되기까지 하였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미국 통계(1987)에서는 15.4%라고 보고되기까지 하였다.
설명
순서
강간은 실제로 그 발생에 비해 경찰에 신고 되는 경우는 적다. 보고 된 사례의 3-10배 정도로 강간은 발생한다. 보고 된 事例의 3-10배 정도로 강간은 발생한다.
4. 악몽과 수면장해
가족복지론,성폭력 피해자 상담,충격후 스트레스성 장애
A. 외상성 사건을 경험했던 개인에게 다음 2가지 증상이 모두 나타난다:
5. 집중력 장해
강간은 실제로 그 발생에 비해 경찰에 신고 되는 경우는 적다. 미국(1992)의 통계에 따르면 여성의 12.9%가 일생동안 한번 정도 강간을 당한다고 추정된다된다.
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1) 개인이 자신이 나 타인의 실제적이거나 위협적인 죽음이나 심각한 상해, 또는 신체적 안녕에 위협을 가져다주는 사건(들)을 경험하거나 목격하거나 직면하였을 때
6. 이외에도 자책감, 죽음에 대한 공포감, 자존심의 손상, 해리, 강박적 사고 등을 경험할 수 있다.
II. 강간후의 정신병리
[가족복지론] 성폭력 피해자 상담 - 충격후 스트레스성 장애와 강간을 중심으로
B. 외상성 사건을 다음과 같은 방식 가운데 1가지(또는 그 이상) 방식으로 지속적으로 재 경험할 때:
III. 충격후 스트레스성 장애 (외상후 스트레스성 장애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진단기준
Download : [가족복지론] 성폭력 피해자 상담 -.hwp( 95 )
2. 우울증 : 역시 많이 보고 되지만 불안보다는 덜 지속된다
![[가족복지론] 성폭력 피해자 상담 --6360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4/%5B%EA%B0%80%EC%A1%B1%EB%B3%B5%EC%A7%80%EB%A1%A0%5D%20%EC%84%B1%ED%8F%AD%EB%A0%A5%20%ED%94%BC%ED%95%B4%EC%9E%90%20%EC%83%81%EB%8B%B4%20--6360_01.jpg)
![[가족복지론] 성폭력 피해자 상담 --6360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4/%5B%EA%B0%80%EC%A1%B1%EB%B3%B5%EC%A7%80%EB%A1%A0%5D%20%EC%84%B1%ED%8F%AD%EB%A0%A5%20%ED%94%BC%ED%95%B4%EC%9E%90%20%EC%83%81%EB%8B%B4%20--6360_02_.jpg)
![[가족복지론] 성폭력 피해자 상담 --6360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4/%5B%EA%B0%80%EC%A1%B1%EB%B3%B5%EC%A7%80%EB%A1%A0%5D%20%EC%84%B1%ED%8F%AD%EB%A0%A5%20%ED%94%BC%ED%95%B4%EC%9E%90%20%EC%83%81%EB%8B%B4%20--6360_03_.jpg)
![[가족복지론] 성폭력 피해자 상담 --6360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4/%5B%EA%B0%80%EC%A1%B1%EB%B3%B5%EC%A7%80%EB%A1%A0%5D%20%EC%84%B1%ED%8F%AD%EB%A0%A5%20%ED%94%BC%ED%95%B4%EC%9E%90%20%EC%83%81%EB%8B%B4%20--6360_04_.jpg)
![[가족복지론] 성폭력 피해자 상담 --6360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4/%5B%EA%B0%80%EC%A1%B1%EB%B3%B5%EC%A7%80%EB%A1%A0%5D%20%EC%84%B1%ED%8F%AD%EB%A0%A5%20%ED%94%BC%ED%95%B4%EC%9E%90%20%EC%83%81%EB%8B%B4%20--6360_05_.jpg)
(2) 개인의 reaction response에 극심한 공포, 무력감, 고통이 동반될 때 (주의: 소아에서는 이런 reaction response 대신 지리멸렬하거나 초조한 행동을 보인다.
3. 사건에 대한 반복적인 기억, 생각과 영상 : 피해자는 나름대로 이런 생각들을 막아보려고 시도한다.)
1. 강간 관련 상황에 대한 강한 공포와 불안 : 가장 지속적인 강간 후의 reaction response으로서 사건이 있은 후 16년까지도 지속되는 것으로 보고 되었다. 미국(1992)의 통계에 따르면 여성의 12.9%가 일생동안 한번 정도 강간을 당한다고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