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물리학 實驗 - 오차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6 21:33
본문
Download : 일반물리학 실험 - 오차론.hwp
참값을 알고 있는 경우에 측정(measurement)값의 정확도를 상대오차로 나타내는데,
①계통 오차
②우연오차
Download : 일반물리학 실험 - 오차론.hwp( 77 )
일반물리학 실험,오차론
•환경오차: 측정(測定) 할 때 온도, 습도, 압력 등 외부환경의 影響으로 생기는 오차
•개인오차: 개인이 가지고 있는 습관이나 선입관이 작용하여 생기는 오차
<오차의 정의> 어떤 물리량을 측정할 때 측정값과 참값의 차이를 오차라 한다. 우연오차의 크기는 추정을 하거나 통계적인 방법으로 결정이 된다 여러 번 반복 측정(測定) 하여 平均(평균)값을 사용함으로써 이와 같은 우연오차를 작게 할 수는 있으나 보정할 수는 없다. 불확도는 표준편차, 표준오차 또는 경험이나 다른 정보에 근거하여 가정한 확률분포로부터 값을 결정한다.
•계기오차: 측정(測定) 계기의 불완전성 때문에 생기는 오차
일반물리학 實驗 - 오차론
<오차의 定義(정의)>





③과실오차
이고, 상대오차는 퍼센트로 표시한다.
참값은 알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협약에 의해서 정해진 참값(협정참값)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 오차=참값-측정값 참값은 알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협약에 의해서 정해진 참값(협정참값)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계통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 원인으로는 다음과 같다.
측정(測定) 자가 주의해도 피할 수 없는 불규칙적이고 우발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오차를 말한다.순서
<불확도>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 오차=참값-측정(measurement)값
계기의 취급부주의로 생기는 오차를 말한다. 오차의 크기와 부호를 추정할 수 있으므로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척도의 숫자를 잘못 읽었다든지 계산을 틀리게 하여 생기는 오차이며 실험자가 충분히 주의하여 제거하여야 하는 오차이다. 오차의 크기가 작을수록 측정이 정확한 것을 나타낸다.
설명
어떤 물리량을 측정(measurement)할 때 측정(measurement)값과 참값의 차이를 오차라 한다.
계통 오차는 반복 측정(測定) 에도 크기와 부호가 변하지 않는 오차이다. 불확도를 나타낼 때는 불확도를 어떤 방법으로 구했는지를 알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참값을 알고 있는 경우에 측정값의 정확도를 상대오차로 나타내는데, 이고, 상대오차는 퍼센트로 표시한다.
다.
측정(測定) 을 할 때 측정(測定) 환경이나 측정(測定) 계기의 분해능에 의한 측정(測定) 한계 등으로 측정(測定) 값은 항상 불확실성을 갖게 된다 이 불확실한 정도를 나타내는 양을 불확도라고 하며, 측정(測定) 결과를 나타낼 때 일반적으로 측정(測定) 값±불확도의 형태로 측정(測定) 값과 함께 표현을 한다. 오차의 크기가 작을수록 측정(measurement)이 정확한 것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