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과 대중文化(culture) ] TV가 일상생활의 구조화에 미친영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4 14:22
본문
Download : [언론과 대중문화] TV가 일상생활의 구조화에.hwp
1) 방송편성과 시간의 재구성
설명
한국방송협회(1997), 「한국방송 70년사」
Ⅰ. 서론
(1) 수용자 리듬의 시대의 편성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 「한국의 사회지표, 1983」
방송학회(1990), 「방송편성론」,나남출판
조성호(1998), 「시청률과 텔레비전 편성」, 「텔레비전 시청률 조사연구」,커뮤니케이션 북스
Ⅱ. 본론
4. analysis 및 결과
MBC文化(culture) 방송(1991), 「文化(culture) 방송 30년 편성 자료집」
MBC文化(culture) 방송(1988), 「MBC-RADIO 편성자료집」
순서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윤태진․이창현․이호규(2003) 「새로운 미디어 테크놀로지의 도입과 ‘시(時)/공간(空間)’ 및 ‘공(公)/사(私)’concept(개념)의 變化(변화)」, 방송연구 2003년 겨울호
Download : [언론과 대중문화] TV가 일상생활의 구조화에.hwp( 44 )
2. 이론적 배경
김승현․한진만(2001) 「한국 사회와 텔레비전 드라마」, 한울 아카데미
앞서 살펴보았듯이 방송 편성은 이벤트 중심적, 수용자 중심적, 연속성 중심적으로 變化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편성 관행은 일상생활의 시간의 재구성에 주요한 原因이 된다된다. 일상생활의 시간의 재구성은 방송편성戰略에 의해 야기된다고 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70년대의 텔레비전 방송 편성의 變化를 analysis하고자 한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텔레비전방송의 편성은 출발부터 고정편성을 하였다.
[언론과 대중文化(culture) ] TV가 일상생활의 구조화에 미친영향
1. TV의 도입과 확산(70년대)
임종수(2003) 「텔레비전 안방文化(culture) 와 근대적 가정에서 생활하기」, 언론과 사회 2003년 겨울호
언론 대중文化(culture) TV 일상생활의구조화 방송 / 정순일․장한성(2000), 「한국 TV 40년의 발자취」, 한울아카데미
이재현(1996)
노정팔(1995), 「한국 방송과 50년」, 나남출판
김복수(2004), 「일상생활의 시․공간적 재구성」, 정보통신 정책 연구원
방송사의 편성戰略 중 하나가 조화성(compatibility)으로 출퇴근 시간이나 일과시간 등 일정한 생활주기에 따른 시청자들의 활동에 일치되도록 프로그램을 배치하는 戰略이다. 때문에 여기서 연구의 초점은 방송 편성의 變化가 수용자 리듬의 시대에서 방송 리듬의 시대로 어떠한 양상과 방향으로 전이되었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시간대별 편성이라고 부른다. 또한 방송의 연속성도 확보되었다. 이는 일상생활 시간의 조직화가 테크놀로지의 시대의 이벤트시간 지향적 방송을 넘어 수용자리듬의 시대인 일상생활 지향적 방송편성 즉 수용자 리듬의 시간으로 이미 진입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주로 사용되는 구체적인 프로그램 편성 戰略을 바로 채널 내 수직 편성戰略으로써 구획편성이라 하겠다.
Ⅲ. 요약 및 결론 4. analysis 및 결과
언론 대중문화 TV 일상생활의구조화 방송 / 정순일․장한성(2000), 「한국 TV 40년의 발자취」, 한울아카데미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 「한국의 사회지표, 1979」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 「한국의 사회지표, 1982」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 「한국의 사회지표, 1983」 노정팔(1995), 「한국 방송과 50년」, 나남출판 한국방송협회(1997), 「한국방송 70년사」 조성호(1998), 「시청률과 텔레비전 편성」, 「텔레비전 시청률 조사연구」,커뮤니케이션 북스 방송학회(1990), 「방송편성론」,나남출판 김복수(2004), 「일상생활의 시․공간적 재구성」, 정보통신 정책 연구원 김승현․한진만(2001) 「한국 사회와 텔레비전 드라마」, 한울 아카데미 MBC문화방송(1988), 「MBC-RADIO 편성자료집」 MBC문화방송(1991), 「문화방송 30년 편성 자료집」 윤태진․이창현․이호규(2003) 「새로운 미디어 테크놀로지의 도입과 ‘시(時)/공간(空間)’ 및 ‘공(公)/사(私)’개념의 변화」, 방송연구 2003년 겨울호 임종수(2003) 「텔레비전 안방문화와 근대적 가정에서 생활하기」, 언론과 사회 2003년 겨울호 이재현(1996)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 「한국의 사회지표, 1982」
언론 대중문화 TV 일상생활의구조화 방송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 「한국의 사회지표, 1979」
3. 연구 방법
다. 출퇴근시간대, 초저녁 변두리 시간대, 프라임 타임대등의 용어로 알려져 있는 하루의 각 부분과 프라임 타임대등의 용어로 알려져 있는 하루의 각 부분과 프로그램이 조화되도록 편성하는 것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