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시의 이해-백록담정지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7 14:35
본문
Download : 현대시의 이해-백록담정지용.hwp
2003-1현대시의이해-백록담정지용 , 현대시의 이해-백록담정지용기타레포트 ,
순서
설명
정지용의 백록담에 관한 내용입니다. 산정에 오를수록 육체는 소모되지만 의식은 점점 더 꽃의 아름다움과 산定義(정의) 광경에 몰입…(투비컨티뉴드 )
레포트/기타
,기타,레포트



2003-1현대시의이해-백록담정지용
현대시의 이해-백록담정지용
다.
이 시는 시인이 한라산을 등반하는 과정에서 발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총 9개 단락으로 이루어진 이 시는 구체적인 묘사를 통해 시인의 내면의 세계를 잘 드러내주고 있다 이 시에 담겨있는 시인의 내면성과 자아와 세계와의 동일성이 드러난 부분에 대해 살펴보고, 그것이 어떠한 방법으로 나타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알아보도록 하자.
1단락은 한라산을 등반하는 과정에서 그 고도가 올라감에 따라 산의 아름다움을 구체적인 묘사를 통해 보여주고 있다 산정을 향애 오르면서 고도가 점점 높아질수록 산을 덮고 있는 뻑국채의 꽃키는 점점 작아진다. 이를 묘사함에 있어서 ‘허리가 스러지고’, ‘모가지가 없고’, ‘얼굴만 갸옷 내다본다’ 등의 섬세한 듯 하면서도 우리 언어를 적절히 구사하여 감각을 높여주고 있다 산정에 오르면 뻑국채의 꽃키는 아주 없어지고 발 아래 피어 있는 꽃의 모습이 ‘판(版)박힌 꽃무늬’, ‘난만(爛漫)하게 흩어진 성신(星辰)’에 비유된다 또 날이 어둑어둑해진 뒤 주위에 피어있는 뻑국채 꽃의 모습이 ‘불 켜진 별’로 비유된다 그리고 화자는 별 속을 걷는 것만 같은 착각속에 빠지면서 그 아름다움에 취하여 기진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시인의 자아와 세계가 동일화되는 것이 아닌지 생각해 본다.
Download : 현대시의 이해-백록담정지용.hwp( 38 )
정지용의 백록담에 관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