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의 레테의 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3 21:01
본문
Download : 플라톤의 레테의 강.hwp
플라톤에 따르면 우리의 영혼이 태어나기 전에는 이상계에 속해 있었고, 그러므로 미의 이데아를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현상계의 조건 하에서는 완전하고 완벽한 아름다움을 도저히 찾아볼 수 없다. 이 충동으로 인해 우리는 처음에는 보다 쉬운 대상, 즉 남녀의 신체의 아름다움을 사랑하기 처음 한다. 그런데 레테(망각)의 강을 건너 현실계에 태어나면 이데아의 세계에서 알고 있던 모든 것을 잊어 버리게 된다고 한다. 그러나 플라톤은 우리가 본체계를 상기할 수 있다고 하면서, 우리의 영혼이 신체가운데 있으면서 미의 이데아를 직접 파악할 수 있는 길에 대해 이야기한다.
Download : 플라톤의 레테의 강.hwp( 25 )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플라톤의 레테의 강플라토의레테의강cimous , 플라톤의 레테의 강인문사회레포트 ,
플라토의레테의강cimous




설명
플라톤의 레테의 강
레포트/인문사회
플라톤의 레테의 강
플라톤은 이 현실계에 존재하는 수 많은 아름다운 사물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하나의 미, 즉 아름다움 그 자체가 존재한다고 보았다. 감각의 옷을 입고 있는 아름다운 사물들의 아름다움은 한 때 존재했다가는 언젠가는 사라지고 마는 가변적인 것이다.
미의 이데아는 아름다운 사물들에 공통된, 그것이 없이는 아름다울 수가 없는 본질적인 속성이다. 현실계에 수많은 사물들이 아름다운 것은 이것들의 原因이 되는 아름다움의 원형이 이상계에 존재하기 때문일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아름다운 사물들은 - 비록 그것이 감각적인 세계에 속해 있어 불완전하긴 하지만 - 참된 미의 원형을 모방하고 있으므로, 우리에게 미의 이데아를 어렴풋하게나마 일깨워 준다고 할 수 있다 그러하기에 플라톤은 우리가 현상계에 살고 있으면서도, 미의 이데아를 파악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말한다. 그러다 점차 분별력을 갖춤에 따라 정신적인 미를 사랑하게 되고, 제도와 법률의 미를 거쳐 학문의 미를 사랑하게 된다 그리고 …(省略)
다. 사람들에게는 본래 아름다움에 대한 강렬한 사랑이 있다 이것을 플라톤은 `에로스`(eros)라고 부른다. 그런데 이것은 감각적으로 파악되지 않고, `마음으로만` 즉 개념(槪念)적으로만 파악됩니다. 이것은 우리 안에 있는 신적인 사랑으로, 광기에 가까운 강렬한 파토스적 충동이다. 이는 곧 미의 이데아로서, 절대적인 미요, 완전한 미다.